스마트폰은 이제 단순한 통신 수단을 넘어, 장애인의 삶을 지원하는 AI 보조기기로도 활약하고 있습니다. iOS와 안드로이드에는 다양한 접근성 기능이 내장되어 있으며, 이를 잘 활용하면 시각, 청각, 지체, 발달장애인 모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됩니다.
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신 기준으로 iOS와 안드로이드 접근성 설정 방법과 AI 연동 팁을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.
1. 시각장애인을 위한 설정
📱 iOS – VoiceOver
- 설정 > 손쉬운 사용 > VoiceOver 켜기
- 모든 화면 요소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능
- 제스처 기반으로 화면 탐색 가능 (오른쪽 스와이프 = 다음 항목)
📱 안드로이드 – TalkBack
- 설정 > 접근성 > TalkBack 활성화
- AI 기반 음성 안내로 화면 내 콘텐츠 탐색 가능
- 2손가락 제스처 및 자동 음성 피드백 지원
AI 추천 앱: Seeing AI, Google Lookout, Be My Eyes
2. 청각장애인을 위한 설정
📱 iOS – 실시간 자막 (Live Captions)
- 설정 > 손쉬운 사용 > 자막 > 실시간 자막
- 영상, 통화, 앱 음성을 자동으로 텍스트로 변환
📱 안드로이드 – 실시간 자막 / Live Transcribe
- 설정 > 접근성 > 실시간 자막 활성화
- Live Transcribe 앱 설치 시, 외부 소리도 텍스트로 변환
- 회의, 일상 대화, 강의 등에서 유용
AI 추천 앱: Live Transcribe, Ava, Otter.ai
3. 지체장애인을 위한 설정
📱 iOS – 음성 명령
- 설정 > 손쉬운 사용 > 음성 제어 켜기
- 음성으로 앱 실행, 화면 탐색, 텍스트 입력 가능
📱 안드로이드 – Voice Access
- 설정 > 접근성 > Voice Access 앱 설치 후 활성화
- 화면 내 숫자 라벨을 음성으로 불러 조작 가능
활용 예시: “홈으로 가기”, “메시지 열기”, “5번 클릭” 등
4. 발달장애인을 위한 간편화 기능
- iOS – 가이드 사용 모드: 특정 앱만 실행 가능하게 고정
- 안드로이드 – 단순 모드 / 사용자 지정 홈 화면 앱
- 불필요한 기능을 숨기고 반복 행동을 지원하는 환경 구성 가능
AI 연계: ChatGPT, AI 대화 앱 등을 고정해 감정 대화 및 반복 학습에 활용
5. 공통 AI 접근성 팁
- AI 음성 비서(Siri, Google Assistant)를 활용한 일정 관리, 검색, 기기 제어
- 스마트홈 기기와 연동 시, 음성으로 조명/TV/에어컨 제어 가능
- 자주 사용하는 명령은 단축어로 등록하여 자동화
장애인의 자립을 돕는 ‘설정 하나의 힘’
스마트폰은 잘만 활용하면 AI 기반 보조기기 그 자체가 될 수 있습니다. 특히 iOS와 안드로이드는 기본 설정만으로도 장애인의 소통, 정보 접근, 이동, 학습을 돕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
이 글에서 소개한 설정을 직접 적용해보고, 주변의 장애인 사용자들에게도 널리 공유해 주세요. 디지털 포용은 설정에서 시작됩니다.
0 댓글
광고성 댓글 및 비방은 사전 통보 없이 삭제 됩니다.